top of page
검색


SEONGNAM DESIGN COMPANY
SEONGNAM DESIGN COMPANY
syordan6
11월 13일1분 분량


안양 평촌동_ 초원대원@ Concept Design
안양 평촌동_ 초원대원@ CONCEPT PLAN 안양평촌에 위치한 초원대원아파트 32평 인테리어 디자인이다. 초원대원아파트와 같은 구조는 이쁘게 나오는 케이스가 드문 편인데 나는 이런 현장이 더 많은 관심과 집착이 생긴다.이번 프로젝트는 내가 평소 초원아파트구조에 대한 생각과 코리안모던컨셉, 공간적 미학에 대한 고민을 하여 계획하였다. 해당현장은 현관실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거실속에 귀속되어 있으면서 바닥레벨차이로 인해 현관의 존재감이 드러난다. 그런데 이를 규정하고자 해서 칸막이와 같은 장치를 하게 되면 거실이 너무 좁아보이는 느낌이 있어 올바른 선택지는 아닌 듯 보인다. 나는 반대로 생각하였다. 현관실의 존재를 좀더 희미하게 만들어서 '거실'의 일부로 만들었다. 그 장치가 거실과 현관 경계를 절벽으로 레벨차이를 둔 기존 방법이 아닌 사선처리한 부분이다. 그리고 기존 신발장은 가감히 삭제하였고, 약간의 신발류를 놓을 수 있는 공간과 디스플레이공
syordan6
2023년 1월 18일1분 분량


안양 평촌동_ 초원대원@ Concept Design
안양 평촌동_ 초원대원@ 30P CONCEPT PLAN 안양평촌에 위치한 초원대원아파트 32평형 인테리어 디자인이다. 이와 같은 평면구조는 대략적으로 20년정도 지난 아파트들이 많다. 현관에 들어서면 바로 거실이 나오고 좌측 또는 우측에 신발장이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신발장을 지나면 작은 방이 나오고 그 뒤로 크지 않은 주방공간이 나오는 평면구조이다. 그래서 해당구조의 아파트는 현관 및 거실 레이아웃과 효율적인 주방동선을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은 형태이기도 하다. 보통의 경우에는 현관의 둘레로 칸막이를 세우고 중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번 평면레이아웃의 핵심은 거실과 현관을 하나의 공통분모로 통분하는 작업이다. 거실과 현관의 바닥텍스쳐를 같은 소재로 하고, 그 경계를 사선처리해서 공간적 상징성을 흐리게 만들어 현관과 거실영역을 통합해 좀더 넓어보이고 개방적인 느낌으로 만들었다. 답답해보이는 현관의 키큰 신발장은 가감히 없앴다. 대신
syordan6
2023년 1월 18일2분 분량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