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syordan6
  • 11월 11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11월 13일

욕실무문선 도어디테일과 텍스처 계획

ree

욕실은 주거 공간 중에서 환경 변화가 가장 극심한 공간이다. 매일 반복되는 온도 변화와 높은 습기는 마감재에 심한 스트레스를 주게 된다. 이런 공간적 특성 때문에 욕실 도어를 계획할 때에는 일반 공간과는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성격을 가진 욕실에서 무문선 도어를 사용할 경우 소재 선택과 텍스처 계획에 있어서 더욱 세밀한 접근이 필요하다.

무문선 도어는 문틀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방식의 도어로, 깔끔하고 심플한 미관적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시공 난이도가 높고 소재 선택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무몰딩으로 진행할 경우 도어프레임은 합판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욕실과 같은 환경에서 목재 소재는 습기와 온도의 변화로 인해 변형, 팽창, 수축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욕실의 도어와 프레임은 ABS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편이 훨씬 안정적이다. ABS는 습기나 온도 변화에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도 안정성이 높다.


ree
ree
ree

위 이미지는 지구인garden에서 진행한 욕실의 무문선도어프레임의 시공사례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나는 되도록이면 욕실에서의 목자재의 사용은 지양하는 편이다. (욕실에서 목재가 안좋다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ABS 기성문틀을 사용하고 그위에 마그네슘보드를 덮은 후 알루미늄각대로 마감을 한다. 알루미늄 각대로 다시또 마감을 하는 이유는 여러이유들이 있지만 욕실에서는 자재간의 들뜸이 가장 큰 이유이다. 자재들이 팽창하는 고온다습한 여름에 특히, 화장실도어가 팽창하여 닫히지 않는 사례가 종종 있었는데 이렇게 시공한 이후에는 한건도 나오지 않았다. 물론 목자재가 들어간곳이 없기때문에 불어터져서 벌어지는 증상도 해결되었다.


ree
ree

욕실에서 바라본 도어의 모습은 인테리어 사진에서 거의 볼 수 없는데, 이는 대부분 보기 좋게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어가 우드 텍스처이고 거실 벽체가 화이트이며 무문선인 경우, 도어 프레임 색상이 욕실 내부까지 영향을 주면서 혼란스럽고 볼품없는 풍경을 연출하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의 안쪽과 바깥쪽 텍스처를 분리하여 계획하는 편이 좋다. 아주 작은 차이로 느껴질 수 있지만, 욕실에서의 시각적 퀄리티는 극적으로 달라진다. 안팎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면서도 공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섬세한 마감, 욕실처럼 협소한 공간일수록 도어 프레임 안쪽 텍스처를 내부의 타일이나 벽 마감재와 조화롭게 통일시키면 더욱 정돈되고 세련된 인상을 줄 수 있다.

[250422]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