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syordan6
  • 11월 11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11월 13일

석고보드 위 불청객, 타카핀의 외출

ree

인테리어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이상한 일들을 만나곤 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석고보드 위에서 어느 날 갑자기 얼굴을 내미는 타카핀이다. 처음에는 완벽하게 박혀서 자리 잡은 듯 보였던 타카핀들이 왜 시간만 지나면 좀비처럼 다시 고개를 들고 나타나는 걸까? 오늘은 이 미스터리한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한다. 타카핀 돌출 현상은 사실 인테리어 현장에서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현장이 마감되었을때는 분명 깨끗하고 매끄러웠던 석고보드 벽이 시간이 지나 다시 찾아가 보면 여기저기 타카핀이 튀어나와 있는 것이다. 마치 "내가 다시 왔다"며 존재감을 과시하는 것처럼 말이다. 당시 현장에서 경험했던 사람들은 이 현상에 대해 나름의 해석을 내놓기도 했지만, 명쾌한 해결책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럼 도대체 왜 이렇게 멀쩡히 박혀있던 타카핀이 돌출되는 걸까? 우선 알아둘 점은 석고보드 자체는 핀을 잡아주는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석고보드는 단지 표면을 마감해주는 역할일 뿐, 실제 핀을 고정하는 힘은 오로지 뒤쪽 구조틀에서 나온다. 원인은 바로 석고보드 뒤편의 구조틀인 목재에 숨어 있었다. 목재는 습도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한다. 이런 목재의 변화가 타카핀을 밀어내면서 결국 타카핀이 석고보드 표면 위로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특히 외기와 접한 벽체나 습도 변화가 심한 곳에서는 이런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나타난다. 목재의 습기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채 시공이 이루어지면, 수축이 더 심해져 타카핀 돌출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 다른 이유는 바로 타카핀 자체의 부식이다.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타카핀이 부식될 가능성이 높은데, 부식되면서 그틈으로 팽창한 목재로 인해 서서히 석고보드 표면 위로 밀려 올라온다. 핀이 부식되면서 주변과의 밀착력이 떨어지고, 이 과정에서 미세하게 움직이다. 결국 표면 위로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ree

이런 이유들 때문에 나는 현재 석고보드 시공 시 타카핀 대신 피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피스는 목재나 구조틀에 보다 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시간이 지나도 쉽게 돌출되지 않는다. 작은 디테일이지만 시공 품질에 큰 차이를 만들어내고 있다. 아마도 지금쯤 누군가는 여전히 튀어나온 타카핀과 싸우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글이 그런 이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250501]

 
 
 

댓글


bottom of page